자동차 구매 시 가격이나 월 할부금, 연비 등은 주요 고려 대상이다. 하지만 유지 비용, 특히 정비 및 수리비도 장기적으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최근 미국 컨슈머 리포트(Consumer Reports)가 발표한 ‘10년간 브랜드별 차량 유지 비용 비교 조사’를 살펴보면 흥미로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조사는 컨슈머 리포트의 연례 신뢰도 조사에 참여한 차량 소유자들에게 지난 12개월간 정비와 수리로 지출한 비용을 묻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여기에는 오일 및 타이어 교체, 차량 결함 수리 비용 등이 포함됐으며, 사고 수리비는 제외됐다.
조사 결과, 10년간 유지비가 가장 적게 드는 브랜드는 테슬라로 나타났다. 테슬라 차량 소유자는 10년간 약 564만 원(4,035달러)을 유지비로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0년간 평균 686만 원(4,900달러)이 드는 토요타와 비교해도 적은 수치다. 반면 BMW는 1,330만 원(9,500달러), 랜드로버는 약 2,695만 원(19,250달러)에 달해 테슬라보다 5배 이상 비쌌다.
프리미엄 브랜드 차량의 유지비가 높은 것은 예상할 수 있지만, 브랜드별 차이는 눈에 띈다. 예를 들어, 링컨의 경우 10년간 유지비가 약 706만 원(5,040달러)으로 조사됐지만, 메르세데스-벤츠는 이보다 두 배 가까운 금액이 들었다.
또한, 브랜드별 유지비 순위가 10년간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는 일부 브랜드의 정비 주기가 길어 초기 비용이 적게 들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용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폭스바겐은 첫 5년 동안은 유지비가 세 번째로 저렴한 브랜드였지만, 10년 기준으로는 15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차량 유지비가 브랜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기차 제조사인 테슬라가 10년간 유지 비용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며 주목받았다. 소비자들은 차량 구매 시 초기 비용뿐 아니라 장기적인 유지비까지 신중하게 고려해 차량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더드라이브 / 박근하 기자 auto@thedrive.onlythebestchoice.com
[저작권자ⓒ 더드라이브(TheDrive). 무단전재-재배포 금지]